본문 바로가기
  • 바람이 불어오는 곳~
이런저런 이야기!

[스크랩] 조경수와 식재형식

by 바람 불어오는 곳 2012. 4. 2.

 

 

1

조경수목의 구비조건

1. 실용적 가치와 형태미가 뛰어나 관상가치가 높은 것

2. 식재지의 불리한 환경이나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성이 강한 것

3. 이식이 용이하여 이식후 활착이 잘 되는 것

4. 번식재배가 잘 되고 관리 용이

5. 구입용이

2

조경수목의 분류

1. 교목과 관목

① 대교목

? 기능

- 녹음수로서의 기능이 가장 큼.

- 경관의 프레임 형성, 구조물의 강? 중량감을 줄이거나 유화,

- 차폐, 경관물들의 배경으로서 이용, 경관에 규모감

- 오픈스페이스에 공간감과 시각적 균형

- 경관과 식재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게 됨

② 중?소교목

? 공간규모가 작아지면 대교목보다 중,소교목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

③ 관목

? 기능

ⓐ 하부식재ⓑ 표본식재 ⓒ 강조식재ⓓ 군식

ⓔ 테두리식재ⓕ 산울타리 ⓖ 차폐식재ⓗ 기초식재

ⓘ 용기식재

2. 음수와 양수

① 광포화점

? 빛의 강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면 동화작용량도 상승하지만 어느 한계를 넘으면 그 이상 강하게 해도 동화작용량이 상승하지 않는 한계점

② 광보상점

? 광합성을 위한 CO2의 흡수와 호홉작용에 의한 CO2의 방출량이 같아지는 점으로 식물이 동화작용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까지의 약한 빛을 이용할 수 있는가 하는 한계점.

3. 수형(빛이 가장 큰 요소)

① 침엽교목

? 정아의 생장이 우수, 정형적인 수형으로 수관은 원추형 또는 우산형에 가까운 형태

② 낙엽교목

? 유목시 정아의 생장이 탁월

? 어느 연령에 도달하면 측아의 생장이 더욱 왕성해져 줄기가 갈라지고 부정형의 수관을 이루어 원정형 또는 난형, 평정형의 형태를 가짐

③ 관목

? 정아보다 측아의 생장이 왕성

? 근경부로부터 줄기와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확장한 수형

④ 하수형 수종

? 측지의 신장생장만큼 비대생장이 뒤따르지 못하기 때문에 무게로 인하여 아로래 처짐

⑤ 수형의 분류

? 원추형 : 낙우송, 금송, 메타, 일본잎갈나무, 히말라야시다, 가이즈까향나무, 편백, 향나무, 솔송나무, 잣나무, 전나무, 주목, 산딸나무, 은행나무, 쪽동백, 층층나무, 칠엽수

? 평정형 : 느티나무, 단풍, 배롱, 백목련, 산벚, 산수유, 자귀

? 하수형 : 실편백, 능수버들, 딱총나무, 황매

4. 조경수목의 계절적 변화

① 신록

② 개화

? 봄꽃나무 : 개화 전해의 6-8월에 화아분화하는데 기온이 높고 건조할수록 화아가 잘 분화됨.

? 여름 꽃나무 : 그해 자란 가지에서 화아가 분화되어 꽃이 핌.

③ 단풍

? 붉은색

- 감나무, 옻나무, 단풍나무류, 담쟁이덩굴, 붉나무, 화살나무, 산딸나무, 산벚나무 등

? 노랑색

- 갈참나무, 고로쇠, 낙우송, 느티나무, 메타, 백합, 은행, 일본잎갈, 칠엽수 등

? 갈색

④ 줄기 색체

3

수목 분포

1. 천연분포와 식재분포

① 식재분포역 〉천연분포

한대림 : 잣나무, 분비나무, 구상나무, 자작나무, 가문비나무, 만병초 등

4

식생 천이

1. 천이의 순서 : 나지→1,2년생초본→다년생초본→양수관목→양수교목→음수교목

예) 망초,개망초-쑥, 쑥부쟁이-억새-싸리, 붉나무, 찔레-소나무-참나무류-서어나무

2. 식생에 대한 인간의 영향

① 자연식생

② 원식생

③ 대상식생

④ 잠재자연식생

5

수목 명명법

1. 학명

① 屬名(명사, 대문자로 시작) + 種名(형용사, 각각의 개체를 구별하는 용어, 소문자) + 명명자의 이름

② 학명의 장점

?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게 통용

? 정확성이 높다

③ 학명의 단점

? 라틴어로 발음 및 문자의 조합이 생소

? 종의 정확한 묘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인의 사용이 어렵다

2. 보통명

① 보통명의 장점

? 기억이 용이하며, 보통의 사용목적에는 충분하다

? 보다 명확한 묘사를 위해서는 형용사를 첨부할 수 있다

② 보통명의 단점

? 불확실하다(변종 품종 구별이 불명확)

? 사용가능지역이 제한

? 학술적 사용에 불충분

? 동일 수종이 지방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

 

▣ 조경 식재의 기능 및 효과

1

식재 기능

1.건축적 기능

① 사생활 보호② 차폐

③ 공간분할④ 점진적 이해

2. 식재의 공학적 기능

① 토양침식 조절 ② 음향의 조절(차음)

③ 대기정화 기능 ④ 섬광조절

⑤ 반사의 조절⑥ 통행의 조절

3. 식재의 기상학적 조절

① 태양복사열 조절② 바람의 조절

③ 강수 조절④ 온도 조절

4. 식재의 미적 기능

① 조각물로서의 이용 ② 반사

③ 영상 ④ 섬세한 선형미

⑤ 장식적 수벽 ⑥ 조류 및 소 동물 유인

⑦ 배경용 ⑧ 구조물의 유화

2

배식 원리

1. 식재설계의 물리적 요소(형태, 질감, 색채)

① 형태

? 식재 설계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

? 식물의 형태는 자생지의 지형적 특성과 관련이 깊다.

? 식물의 집단적 구성형태는 기능적 효과(녹음, 차폐, 방풍 등)뿐만 아니라 선의 미적효과를 제공

② 질감

? 식물재료 표면의 거칠음 정도를 의미

? 식물의 질감을 결정하는 물리적 특징은 줄기, 잎, 가지, 눈

? 질감은 식물과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.

? 잎의 질감은 잎과 잎 사이의 공간과 잎의 크기 뿐만 아니라 잎표면의 질에 따라서 변함

③ 색채

? 색채는 가장 강력한 호소력을 가지며, 가장 큰 반응을 일으키는 요소

? 식물의 색채는 반사된 빛의 파장으로 좌우되는 시각적 성질

2. 식재설계의 미적효과

① 통일성

? 동질성을 창출하기 위한 여러부분들의 조화있는 조합

? 전체를 질서있는 단위로 유기적인 관련을 갖도록 한다.

② 단순

? 식재설계에서 단순함을 창조하는 것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반복이다

③ 변화

? 과다한 변화의 사용은 단조로움의 원인이 되며, 혼잡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

? 변화는 강한 대비를 야기함으로 다른 요소에 비해 부족한 듯 사용

④ 균형

? 대칭균형 : 축의 양쪽 요소들이 정확히 대칭되는 경우

? 비대칭균형 : 크기와 모양은 다르지만, 균형있는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

⑤ 강조

? 연속되거나 형태를 이룬 수종들 가운데서 하나의 시각적 분기점이다

⑥ 연속

? 연속은 한 요소에서 다른 요소에 이르기까지 계속성과 연결에 의해 나타난다

? 형태, 질감, 색채의 적절한 연속은 보는 사람의 눈을 질서있게 공간에서 또는 공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한다

⑦ 스케일

? 대상물의 절대적인 크기와 상대적인 크기를 가르키는 척도이다

 

▣ 경관을 위한 식재수법

1

정형식 식재

1. 식재수법

① 축선의 설정과 대칭식재

② Vista를 구성

③ 직선식재

? 강한 방향성과 표현력 부여

? 쉽게 관찰자의 시선 유도, 집중 효과

④ 무늬식재

3. 정형식재의 기본 패턴

단식(표본식재)

? 현관앞 회차도의 중앙, 직교축의 교차점 식재

② 대식

?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종동형 수목을 쌍으로 식재

③ 열식

? 열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동종동양의 수목을 식재

④ 교호식재

? 수열(樹列)의 두께를 늘이기 위한 경우에 사용

⑤ 집단식재(군식)

? 일정한 면적에 수목을 규칙적으로 식재하여 덮어버리는 방법

⑥ 요점식재

? 원형에서의 중심점과 원주, 사각형에서는 4개의 모서리와 대각선의 교차점, 직선에서는 중점과 왕금비의 분할점에 식재

⑦ 기하학적식재

? 유럽의 미로화단이나 자수화단과 같이 낮은 관목류 및 화훼류를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식재

2

자연풍경식 식재

1. 자연풍경식의 기본 패턴

① 부등변삼각형 식재

? 동양식 배식의 기본 패턴

② 임의 식재(random 식재)

? 형태, 크기가 다른 다수의 수목을 일직선이 되지 않도록 식재간견을 달리하여 식재

③ 모아심기

? 몇 그루의 나무를 모아서 식재하는 방식으로 주변경관과는 무관한 단위경관으로서 그 자체로서 마무리 된다

④ 군식 : 모아심기가 확대된 형태

⑤ 산재식재

? 한 그루씩 드물게 흩어지도록 식재

⑥ 배경식재

? 주경관의 배경형성, 임의식재의 식재법으로 식재

⑦ 주목(경관목)

? 그루수에 관계 없이 경관의 중심적 존재가 되어 경관을 지배하는 나무

3

자유 식재

1. 식재수법

① 단순한 배식에 의한 경관 구성 → 디자인의 단순화

② 수목의 종류는 적게, 혼합식재 지향

③ 우량목으로 요점을 강조

2. 식재패턴

① 루버형, 번개형, 아메바형, 절선형 등

② 소반경의 원호형(좁은 반폐쇄적 공간 구성), 대반경의 원호형 등

4

건물 및 구조물 관련 식재

1. 식재유형

① 기초식재(Foundation planting)

? 건물 기초 부근의 딱딱한 수평선과 건물의 수직선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건물 전면 또는 건물 주위로 일정폭의 색재대를 만들어서 식재하는 방법

② 모서리 식재(Coner planting)

? 건물의 모서리선을 부드럽게 완화시킬 목적으로 모서리 부근에 식재, 건물을 보다 커 보이게 하는 효과

③ 초점식재

? 관찰자의 시선을 현관쪽으로 유도

? 초점식재 주변은 시각적인 관심을 유도하는 식재기법을 배제

④ 채우기 식재

? 벽면과 벽면이 만나 이루어진 구석진 곳의 주위와의 시각적 부조화를 해결

⑤ 배경식재

? 자연경관이 우세한 지역에서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위해 식재

 

▣ 기능 식재

1

차폐식재

1. 차폐이론

① 외관상 보기 흉한 곳이나 구조물 또는 공작물을 은폐하거나 외부로부터 내부를 엿볼수 없도록 시선, 시계를 차단하는 식재

? tan α = H-e/D = h-e/d(e : 사람 눈높이, h : 수고, H : 건물 높이)

② 주행시 측방차폐

? S(수목간의 간격) = 2R/sinα = D/sinα(sinα = 좌우시각, 30°)

③ 캄플라즈(camouflage)

? 균질화

? 분산방식

 

 

 

2. 차폐식재용 수종

① 지엽이 밀생하고 수관이 큰 상록수가 적합

② 상록수보다 낙엽수의 생장속도가 빠르므로 낙엽수를 심어 단시일내에 차폐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.

2

가로막이 식재

1. 산울타리 식재

① 수목 선정 조건

? 적당한 수고, 지엽밀생, 건조와 공해에 강한 수종, 하지가 고사하지 않는 것, 맹아력이 강한 수종, 보호 및 관리가 용이한 수종, 상록수가 적합

2. 가장자리 긋기용 수종

원로나 화단 또는 잔디밭 가장자리에 높이 30-90cm, 너비 30-60cm정도의 나무를 심어 경계선을 긋는 식

3

녹음 식재

1. 녹음효과

① 한 장의 잎을 투과하는 햇빛량은 엽질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전수광량의 10-30% 정도임.

② 수목의 그림자 길이

? H = L x cot h

(H : 그림자 길이, L : 수고, h : 태양의 고도)

2. 수목 조건

① 적당한 지하고, 수관이 클 것, 잎이 크고 밀생할 것, 병충해와 답압의 피해가 적을 것, 악취 및 가시가 없는 수종, 낙엽교목이 적합(겨울의 일조량)

4

방풍 식재

1. 방풍효과

① 방풍효과와 미치는 범위는 수목의 높이와 관계를 가지며 감속량은 밀도에 따라 좌우

방풍효과가 미치는 범위는 바람 위쪽에 대해 수고의 6 - 10배, 바람 아래쪽에 대해서는 25 - 30배 거리

③ 수림대의 배치는 주풍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높이도록 하며 수림대의 길이는 수고의 12배 이상이 필요

④ 가장 효과가 큰 것은 아래쪽의 수고 3 - 5배에 해당되는 지점으로 풍속 65%가 감소

2. 방풍식재 조성

① 1.5-2m 간격을 간격의 정삼격형 식재로 5-7열로 식재

② 식재대의 폭은 10-20m

수고가 클수록 수림대의 너비를 더 넓게 조성(수고가 클수록 가지가 소생)

④ 산울타리의 밀폐도 : 45 - 55%

⑤ 수림의 밀폐도 : 50 - 70%

5

방음 식재

1. 방음 대책

① 음원과 수음점과의 거리를 충분히 떼어놓는 것(가장 확실한 방법)

② 담과 같은 차음효과를 가진 구조물을 중간에 설치하는 방법

③ 길가에 식수대를 조성

④ 노면에 요철을 없애는 방법

⑤ 노면을 연도부지보다 낮추어 도랑이나 노견에 둑을 쌓아 올리는 방법

⑥ 노면구배를 완만히 하는 방법

2. 수종

① 지하고가 낮고 잎이 수직방향으로 치밀하게 부착하는 상록교목이 적합

② 추위가 심한 지방에서는 낙엽수와 상록수를 혼식하는 방법을 사용

1

조경수목의 구비조건

1. 실용적 가치와 형태미가 뛰어나 관상가치가 높은 것

2. 식재지의 불리한 환경이나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성이 강한 것

3. 이식이 용이하여 이식후 활착이 잘 되는 것

4. 번식재배가 잘 되고 관리 용이

5. 구입용이

2

조경수목의 분류

1. 교목과 관목

① 대교목

? 기능

- 녹음수로서의 기능이 가장 큼.

- 경관의 프레임 형성, 구조물의 강? 중량감을 줄이거나 유화,

- 차폐, 경관물들의 배경으로서 이용, 경관에 규모감

- 오픈스페이스에 공간감과 시각적 균형

- 경관과 식재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게 됨

② 중?소교목

? 공간규모가 작아지면 대교목보다 중,소교목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

③ 관목

? 기능

ⓐ 하부식재ⓑ 표본식재 ⓒ 강조식재ⓓ 군식

ⓔ 테두리식재ⓕ 산울타리 ⓖ 차폐식재ⓗ 기초식재

ⓘ 용기식재

2. 음수와 양수

① 광포화점

? 빛의 강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면 동화작용량도 상승하지만 어느 한계를 넘으면 그 이상 강하게 해도 동화작용량이 상승하지 않는 한계점

② 광보상점

? 광합성을 위한 CO2의 흡수와 호홉작용에 의한 CO2의 방출량이 같아지는 점으로 식물이 동화작용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까지의 약한 빛을 이용할 수 있는가 하는 한계점.

3. 수형(빛이 가장 큰 요소)

① 침엽교목

? 정아의 생장이 우수, 정형적인 수형으로 수관은 원추형 또는 우산형에 가까운 형태

② 낙엽교목

? 유목시 정아의 생장이 탁월

? 어느 연령에 도달하면 측아의 생장이 더욱 왕성해져 줄기가 갈라지고 부정형의 수관을 이루어 원정형 또는 난형, 평정형의 형태를 가짐

③ 관목

? 정아보다 측아의 생장이 왕성

? 근경부로부터 줄기와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확장한 수형

④ 하수형 수종

? 측지의 신장생장만큼 비대생장이 뒤따르지 못하기 때문에 무게로 인하여 아로래 처짐

⑤ 수형의 분류

? 원추형 : 낙우송, 금송, 메타, 일본잎갈나무, 히말라야시다, 가이즈까향나무, 편백, 향나무, 솔송나무, 잣나무, 전나무, 주목, 산딸나무, 은행나무, 쪽동백, 층층나무, 칠엽수

? 평정형 : 느티나무, 단풍, 배롱, 백목련, 산벚, 산수유, 자귀

? 하수형 : 실편백, 능수버들, 딱총나무, 황매

4. 조경수목의 계절적 변화

① 신록

② 개화

? 봄꽃나무 : 개화 전해의 6-8월에 화아분화하는데 기온이 높고 건조할수록 화아가 잘 분화됨.

? 여름 꽃나무 : 그해 자란 가지에서 화아가 분화되어 꽃이 핌.

③ 단풍

? 붉은색

- 감나무, 옻나무, 단풍나무류, 담쟁이덩굴, 붉나무, 화살나무, 산딸나무, 산벚나무 등

? 노랑색

- 갈참나무, 고로쇠, 낙우송, 느티나무, 메타, 백합, 은행, 일본잎갈, 칠엽수 등

? 갈색

④ 줄기 색체

3

수목 분포

1. 천연분포와 식재분포

① 식재분포역 〉천연분포

한대림 : 잣나무, 분비나무, 구상나무, 자작나무, 가문비나무, 만병초 등

4

식생 천이

1. 천이의 순서 : 나지→1,2년생초본→다년생초본→양수관목→양수교목→음수교목

예) 망초,개망초-쑥, 쑥부쟁이-억새-싸리, 붉나무, 찔레-소나무-참나무류-서어나무

2. 식생에 대한 인간의 영향

① 자연식생

② 원식생

③ 대상식생

④ 잠재자연식생

5

수목 명명법

1. 학명

① 屬名(명사, 대문자로 시작) + 種名(형용사, 각각의 개체를 구별하는 용어, 소문자) + 명명자의 이름

② 학명의 장점

?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게 통용

? 정확성이 높다

③ 학명의 단점

? 라틴어로 발음 및 문자의 조합이 생소

? 종의 정확한 묘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인의 사용이 어렵다

2. 보통명

① 보통명의 장점

? 기억이 용이하며, 보통의 사용목적에는 충분하다

? 보다 명확한 묘사를 위해서는 형용사를 첨부할 수 있다

② 보통명의 단점

? 불확실하다(변종 품종 구별이 불명확)

? 사용가능지역이 제한

? 학술적 사용에 불충분

? 동일 수종이 지방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

 

▣ 조경 식재의 기능 및 효과

1

식재 기능

1.건축적 기능

① 사생활 보호② 차폐

③ 공간분할④ 점진적 이해

2. 식재의 공학적 기능

① 토양침식 조절 ② 음향의 조절(차음)

③ 대기정화 기능 ④ 섬광조절

⑤ 반사의 조절⑥ 통행의 조절

3. 식재의 기상학적 조절

① 태양복사열 조절② 바람의 조절

③ 강수 조절④ 온도 조절

4. 식재의 미적 기능

① 조각물로서의 이용 ② 반사

③ 영상 ④ 섬세한 선형미

⑤ 장식적 수벽 ⑥ 조류 및 소 동물 유인

⑦ 배경용 ⑧ 구조물의 유화

2

배식 원리

1. 식재설계의 물리적 요소(형태, 질감, 색채)

① 형태

? 식재 설계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

? 식물의 형태는 자생지의 지형적 특성과 관련이 깊다.

? 식물의 집단적 구성형태는 기능적 효과(녹음, 차폐, 방풍 등)뿐만 아니라 선의 미적효과를 제공

② 질감

? 식물재료 표면의 거칠음 정도를 의미

? 식물의 질감을 결정하는 물리적 특징은 줄기, 잎, 가지, 눈

? 질감은 식물과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.

? 잎의 질감은 잎과 잎 사이의 공간과 잎의 크기 뿐만 아니라 잎표면의 질에 따라서 변함

③ 색채

? 색채는 가장 강력한 호소력을 가지며, 가장 큰 반응을 일으키는 요소

? 식물의 색채는 반사된 빛의 파장으로 좌우되는 시각적 성질

2. 식재설계의 미적효과

① 통일성

? 동질성을 창출하기 위한 여러부분들의 조화있는 조합

? 전체를 질서있는 단위로 유기적인 관련을 갖도록 한다.

② 단순

? 식재설계에서 단순함을 창조하는 것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반복이다

③ 변화

? 과다한 변화의 사용은 단조로움의 원인이 되며, 혼잡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

? 변화는 강한 대비를 야기함으로 다른 요소에 비해 부족한 듯 사용

④ 균형

? 대칭균형 : 축의 양쪽 요소들이 정확히 대칭되는 경우

? 비대칭균형 : 크기와 모양은 다르지만, 균형있는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

⑤ 강조

? 연속되거나 형태를 이룬 수종들 가운데서 하나의 시각적 분기점이다

⑥ 연속

? 연속은 한 요소에서 다른 요소에 이르기까지 계속성과 연결에 의해 나타난다

? 형태, 질감, 색채의 적절한 연속은 보는 사람의 눈을 질서있게 공간에서 또는 공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한다

⑦ 스케일

? 대상물의 절대적인 크기와 상대적인 크기를 가르키는 척도이다

 

▣ 경관을 위한 식재수법

1

정형식 식재

1. 식재수법

① 축선의 설정과 대칭식재

② Vista를 구성

③ 직선식재

? 강한 방향성과 표현력 부여

? 쉽게 관찰자의 시선 유도, 집중 효과

④ 무늬식재

3. 정형식재의 기본 패턴

단식(표본식재)

? 현관앞 회차도의 중앙, 직교축의 교차점 식재

② 대식

?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종동형 수목을 쌍으로 식재

③ 열식

? 열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동종동양의 수목을 식재

④ 교호식재

? 수열(樹列)의 두께를 늘이기 위한 경우에 사용

⑤ 집단식재(군식)

? 일정한 면적에 수목을 규칙적으로 식재하여 덮어버리는 방법

⑥ 요점식재

? 원형에서의 중심점과 원주, 사각형에서는 4개의 모서리와 대각선의 교차점, 직선에서는 중점과 왕금비의 분할점에 식재

⑦ 기하학적식재

? 유럽의 미로화단이나 자수화단과 같이 낮은 관목류 및 화훼류를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식재

2

자연풍경식 식재

1. 자연풍경식의 기본 패턴

① 부등변삼각형 식재

? 동양식 배식의 기본 패턴

② 임의 식재(random 식재)

? 형태, 크기가 다른 다수의 수목을 일직선이 되지 않도록 식재간견을 달리하여 식재

③ 모아심기

? 몇 그루의 나무를 모아서 식재하는 방식으로 주변경관과는 무관한 단위경관으로서 그 자체로서 마무리 된다

④ 군식 : 모아심기가 확대된 형태

⑤ 산재식재

? 한 그루씩 드물게 흩어지도록 식재

⑥ 배경식재

? 주경관의 배경형성, 임의식재의 식재법으로 식재

⑦ 주목(경관목)

? 그루수에 관계 없이 경관의 중심적 존재가 되어 경관을 지배하는 나무

3

자유 식재

1. 식재수법

① 단순한 배식에 의한 경관 구성 → 디자인의 단순화

② 수목의 종류는 적게, 혼합식재 지향

③ 우량목으로 요점을 강조

2. 식재패턴

① 루버형, 번개형, 아메바형, 절선형 등

② 소반경의 원호형(좁은 반폐쇄적 공간 구성), 대반경의 원호형 등

4

건물 및 구조물 관련 식재

1. 식재유형

① 기초식재(Foundation planting)

? 건물 기초 부근의 딱딱한 수평선과 건물의 수직선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건물 전면 또는 건물 주위로 일정폭의 색재대를 만들어서 식재하는 방법

② 모서리 식재(Coner planting)

? 건물의 모서리선을 부드럽게 완화시킬 목적으로 모서리 부근에 식재, 건물을 보다 커 보이게 하는 효과

③ 초점식재

? 관찰자의 시선을 현관쪽으로 유도

? 초점식재 주변은 시각적인 관심을 유도하는 식재기법을 배제

④ 채우기 식재

? 벽면과 벽면이 만나 이루어진 구석진 곳의 주위와의 시각적 부조화를 해결

⑤ 배경식재

? 자연경관이 우세한 지역에서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위해 식재

 

▣ 기능 식재

1

차폐식재

1. 차폐이론

① 외관상 보기 흉한 곳이나 구조물 또는 공작물을 은폐하거나 외부로부터 내부를 엿볼수 없도록 시선, 시계를 차단하는 식재

? tan α = H-e/D = h-e/d(e : 사람 눈높이, h : 수고, H : 건물 높이)

② 주행시 측방차폐

? S(수목간의 간격) = 2R/sinα = D/sinα(sinα = 좌우시각, 30°)

③ 캄플라즈(camouflage)

? 균질화

? 분산방식

 

 

 

2. 차폐식재용 수종

① 지엽이 밀생하고 수관이 큰 상록수가 적합

② 상록수보다 낙엽수의 생장속도가 빠르므로 낙엽수를 심어 단시일내에 차폐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.

2

가로막이 식재

1. 산울타리 식재

① 수목 선정 조건

? 적당한 수고, 지엽밀생, 건조와 공해에 강한 수종, 하지가 고사하지 않는 것, 맹아력이 강한 수종, 보호 및 관리가 용이한 수종, 상록수가 적합

2. 가장자리 긋기용 수종

원로나 화단 또는 잔디밭 가장자리에 높이 30-90cm, 너비 30-60cm정도의 나무를 심어 경계선을 긋는 식

3

녹음 식재

1. 녹음효과

① 한 장의 잎을 투과하는 햇빛량은 엽질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전수광량의 10-30% 정도임.

② 수목의 그림자 길이

? H = L x cot h

(H : 그림자 길이, L : 수고, h : 태양의 고도)

2. 수목 조건

① 적당한 지하고, 수관이 클 것, 잎이 크고 밀생할 것, 병충해와 답압의 피해가 적을 것, 악취 및 가시가 없는 수종, 낙엽교목이 적합(겨울의 일조량)

4

방풍 식재

1. 방풍효과

① 방풍효과와 미치는 범위는 수목의 높이와 관계를 가지며 감속량은 밀도에 따라 좌우

방풍효과가 미치는 범위는 바람 위쪽에 대해 수고의 6 - 10배, 바람 아래쪽에 대해서는 25 - 30배 거리

③ 수림대의 배치는 주풍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높이도록 하며 수림대의 길이는 수고의 12배 이상이 필요

④ 가장 효과가 큰 것은 아래쪽의 수고 3 - 5배에 해당되는 지점으로 풍속 65%가 감소

2. 방풍식재 조성

① 1.5-2m 간격을 간격의 정삼격형 식재로 5-7열로 식재

② 식재대의 폭은 10-20m

수고가 클수록 수림대의 너비를 더 넓게 조성(수고가 클수록 가지가 소생)

④ 산울타리의 밀폐도 : 45 - 55%

⑤ 수림의 밀폐도 : 50 - 70%

5

방음 식재

1. 방음 대책

① 음원과 수음점과의 거리를 충분히 떼어놓는 것(가장 확실한 방법)

② 담과 같은 차음효과를 가진 구조물을 중간에 설치하는 방법

③ 길가에 식수대를 조성

④ 노면에 요철을 없애는 방법

⑤ 노면을 연도부지보다 낮추어 도랑이나 노견에 둑을 쌓아 올리는 방법

⑥ 노면구배를 완만히 하는 방법

2. 수종

① 지하고가 낮고 잎이 수직방향으로 치밀하게 부착하는 상록교목이 적합

② 추위가 심한 지방에서는 낙엽수와 상록수를 혼식하는 방법을 사용

1

조경수목의 구비조건

1. 실용적 가치와 형태미가 뛰어나 관상가치가 높은 것

2. 식재지의 불리한 환경이나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성이 강한 것

3. 이식이 용이하여 이식후 활착이 잘 되는 것

4. 번식재배가 잘 되고 관리 용이

5. 구입용이

2

조경수목의 분류

1. 교목과 관목

① 대교목

? 기능

- 녹음수로서의 기능이 가장 큼.

- 경관의 프레임 형성, 구조물의 강? 중량감을 줄이거나 유화,

- 차폐, 경관물들의 배경으로서 이용, 경관에 규모감

- 오픈스페이스에 공간감과 시각적 균형

- 경관과 식재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게 됨

② 중?소교목

? 공간규모가 작아지면 대교목보다 중,소교목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

③ 관목

? 기능

ⓐ 하부식재ⓑ 표본식재 ⓒ 강조식재ⓓ 군식

ⓔ 테두리식재ⓕ 산울타리 ⓖ 차폐식재ⓗ 기초식재

ⓘ 용기식재

2. 음수와 양수

① 광포화점

? 빛의 강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면 동화작용량도 상승하지만 어느 한계를 넘으면 그 이상 강하게 해도 동화작용량이 상승하지 않는 한계점

② 광보상점

? 광합성을 위한 CO2의 흡수와 호홉작용에 의한 CO2의 방출량이 같아지는 점으로 식물이 동화작용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까지의 약한 빛을 이용할 수 있는가 하는 한계점.

3. 수형(빛이 가장 큰 요소)

① 침엽교목

? 정아의 생장이 우수, 정형적인 수형으로 수관은 원추형 또는 우산형에 가까운 형태

② 낙엽교목

? 유목시 정아의 생장이 탁월

? 어느 연령에 도달하면 측아의 생장이 더욱 왕성해져 줄기가 갈라지고 부정형의 수관을 이루어 원정형 또는 난형, 평정형의 형태를 가짐

③ 관목

? 정아보다 측아의 생장이 왕성

? 근경부로부터 줄기와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확장한 수형

④ 하수형 수종

? 측지의 신장생장만큼 비대생장이 뒤따르지 못하기 때문에 무게로 인하여 아로래 처짐

⑤ 수형의 분류

? 원추형 : 낙우송, 금송, 메타, 일본잎갈나무, 히말라야시다, 가이즈까향나무, 편백, 향나무, 솔송나무, 잣나무, 전나무, 주목, 산딸나무, 은행나무, 쪽동백, 층층나무, 칠엽수

? 평정형 : 느티나무, 단풍, 배롱, 백목련, 산벚, 산수유, 자귀

? 하수형 : 실편백, 능수버들, 딱총나무, 황매

4. 조경수목의 계절적 변화

① 신록

② 개화

? 봄꽃나무 : 개화 전해의 6-8월에 화아분화하는데 기온이 높고 건조할수록 화아가 잘 분화됨.

? 여름 꽃나무 : 그해 자란 가지에서 화아가 분화되어 꽃이 핌.

③ 단풍

? 붉은색

- 감나무, 옻나무, 단풍나무류, 담쟁이덩굴, 붉나무, 화살나무, 산딸나무, 산벚나무 등

? 노랑색

- 갈참나무, 고로쇠, 낙우송, 느티나무, 메타, 백합, 은행, 일본잎갈, 칠엽수 등

? 갈색

④ 줄기 색체

3

수목 분포

1. 천연분포와 식재분포

① 식재분포역 〉천연분포

한대림 : 잣나무, 분비나무, 구상나무, 자작나무, 가문비나무, 만병초 등

4

식생 천이

1. 천이의 순서 : 나지→1,2년생초본→다년생초본→양수관목→양수교목→음수교목

예) 망초,개망초-쑥, 쑥부쟁이-억새-싸리, 붉나무, 찔레-소나무-참나무류-서어나무

2. 식생에 대한 인간의 영향

① 자연식생

② 원식생

③ 대상식생

④ 잠재자연식생

5

수목 명명법

1. 학명

① 屬名(명사, 대문자로 시작) + 種名(형용사, 각각의 개체를 구별하는 용어, 소문자) + 명명자의 이름

② 학명의 장점

?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게 통용

? 정확성이 높다

③ 학명의 단점

? 라틴어로 발음 및 문자의 조합이 생소

? 종의 정확한 묘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인의 사용이 어렵다

2. 보통명

① 보통명의 장점

? 기억이 용이하며, 보통의 사용목적에는 충분하다

? 보다 명확한 묘사를 위해서는 형용사를 첨부할 수 있다

② 보통명의 단점

? 불확실하다(변종 품종 구별이 불명확)

? 사용가능지역이 제한

? 학술적 사용에 불충분

? 동일 수종이 지방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

 

▣ 조경 식재의 기능 및 효과

1

식재 기능

1.건축적 기능

① 사생활 보호② 차폐

③ 공간분할④ 점진적 이해

2. 식재의 공학적 기능

① 토양침식 조절 ② 음향의 조절(차음)

③ 대기정화 기능 ④ 섬광조절

⑤ 반사의 조절⑥ 통행의 조절

3. 식재의 기상학적 조절

① 태양복사열 조절② 바람의 조절

③ 강수 조절④ 온도 조절

4. 식재의 미적 기능

① 조각물로서의 이용 ② 반사

③ 영상 ④ 섬세한 선형미

⑤ 장식적 수벽 ⑥ 조류 및 소 동물 유인

⑦ 배경용 ⑧ 구조물의 유화

2

배식 원리

1. 식재설계의 물리적 요소(형태, 질감, 색채)

① 형태

? 식재 설계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

? 식물의 형태는 자생지의 지형적 특성과 관련이 깊다.

? 식물의 집단적 구성형태는 기능적 효과(녹음, 차폐, 방풍 등)뿐만 아니라 선의 미적효과를 제공

② 질감

? 식물재료 표면의 거칠음 정도를 의미

? 식물의 질감을 결정하는 물리적 특징은 줄기, 잎, 가지, 눈

? 질감은 식물과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.

? 잎의 질감은 잎과 잎 사이의 공간과 잎의 크기 뿐만 아니라 잎표면의 질에 따라서 변함

③ 색채

? 색채는 가장 강력한 호소력을 가지며, 가장 큰 반응을 일으키는 요소

? 식물의 색채는 반사된 빛의 파장으로 좌우되는 시각적 성질

2. 식재설계의 미적효과

① 통일성

? 동질성을 창출하기 위한 여러부분들의 조화있는 조합

? 전체를 질서있는 단위로 유기적인 관련을 갖도록 한다.

② 단순

? 식재설계에서 단순함을 창조하는 것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반복이다

③ 변화

? 과다한 변화의 사용은 단조로움의 원인이 되며, 혼잡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

? 변화는 강한 대비를 야기함으로 다른 요소에 비해 부족한 듯 사용

④ 균형

? 대칭균형 : 축의 양쪽 요소들이 정확히 대칭되는 경우

? 비대칭균형 : 크기와 모양은 다르지만, 균형있는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

⑤ 강조

? 연속되거나 형태를 이룬 수종들 가운데서 하나의 시각적 분기점이다

⑥ 연속

? 연속은 한 요소에서 다른 요소에 이르기까지 계속성과 연결에 의해 나타난다

? 형태, 질감, 색채의 적절한 연속은 보는 사람의 눈을 질서있게 공간에서 또는 공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한다

⑦ 스케일

? 대상물의 절대적인 크기와 상대적인 크기를 가르키는 척도이다

 

▣ 경관을 위한 식재수법

1

정형식 식재

1. 식재수법

① 축선의 설정과 대칭식재

② Vista를 구성

③ 직선식재

? 강한 방향성과 표현력 부여

? 쉽게 관찰자의 시선 유도, 집중 효과

④ 무늬식재

3. 정형식재의 기본 패턴

단식(표본식재)

? 현관앞 회차도의 중앙, 직교축의 교차점 식재

② 대식

?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종동형 수목을 쌍으로 식재

③ 열식

? 열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동종동양의 수목을 식재

④ 교호식재

? 수열(樹列)의 두께를 늘이기 위한 경우에 사용

⑤ 집단식재(군식)

? 일정한 면적에 수목을 규칙적으로 식재하여 덮어버리는 방법

⑥ 요점식재

? 원형에서의 중심점과 원주, 사각형에서는 4개의 모서리와 대각선의 교차점, 직선에서는 중점과 왕금비의 분할점에 식재

⑦ 기하학적식재

? 유럽의 미로화단이나 자수화단과 같이 낮은 관목류 및 화훼류를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식재

2

자연풍경식 식재

1. 자연풍경식의 기본 패턴

① 부등변삼각형 식재

? 동양식 배식의 기본 패턴

② 임의 식재(random 식재)

? 형태, 크기가 다른 다수의 수목을 일직선이 되지 않도록 식재간견을 달리하여 식재

③ 모아심기

? 몇 그루의 나무를 모아서 식재하는 방식으로 주변경관과는 무관한 단위경관으로서 그 자체로서 마무리 된다

④ 군식 : 모아심기가 확대된 형태

⑤ 산재식재

? 한 그루씩 드물게 흩어지도록 식재

⑥ 배경식재

? 주경관의 배경형성, 임의식재의 식재법으로 식재

⑦ 주목(경관목)

? 그루수에 관계 없이 경관의 중심적 존재가 되어 경관을 지배하는 나무

3

자유 식재

1. 식재수법

① 단순한 배식에 의한 경관 구성 → 디자인의 단순화

② 수목의 종류는 적게, 혼합식재 지향

③ 우량목으로 요점을 강조

2. 식재패턴

① 루버형, 번개형, 아메바형, 절선형 등

② 소반경의 원호형(좁은 반폐쇄적 공간 구성), 대반경의 원호형 등

4

건물 및 구조물 관련 식재

1. 식재유형

① 기초식재(Foundation planting)

? 건물 기초 부근의 딱딱한 수평선과 건물의 수직선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건물 전면 또는 건물 주위로 일정폭의 색재대를 만들어서 식재하는 방법

② 모서리 식재(Coner planting)

? 건물의 모서리선을 부드럽게 완화시킬 목적으로 모서리 부근에 식재, 건물을 보다 커 보이게 하는 효과

③ 초점식재

? 관찰자의 시선을 현관쪽으로 유도

? 초점식재 주변은 시각적인 관심을 유도하는 식재기법을 배제

④ 채우기 식재

? 벽면과 벽면이 만나 이루어진 구석진 곳의 주위와의 시각적 부조화를 해결

⑤ 배경식재

? 자연경관이 우세한 지역에서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위해 식재

 

▣ 기능 식재

1

차폐식재

1. 차폐이론

① 외관상 보기 흉한 곳이나 구조물 또는 공작물을 은폐하거나 외부로부터 내부를 엿볼수 없도록 시선, 시계를 차단하는 식재

? tan α = H-e/D = h-e/d(e : 사람 눈높이, h : 수고, H : 건물 높이)

② 주행시 측방차폐

? S(수목간의 간격) = 2R/sinα = D/sinα(sinα = 좌우시각, 30°)

③ 캄플라즈(camouflage)

? 균질화

? 분산방식

 

 

 

2. 차폐식재용 수종

① 지엽이 밀생하고 수관이 큰 상록수가 적합

② 상록수보다 낙엽수의 생장속도가 빠르므로 낙엽수를 심어 단시일내에 차폐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.

2

가로막이 식재

1. 산울타리 식재

① 수목 선정 조건

? 적당한 수고, 지엽밀생, 건조와 공해에 강한 수종, 하지가 고사하지 않는 것, 맹아력이 강한 수종, 보호 및 관리가 용이한 수종, 상록수가 적합

2. 가장자리 긋기용 수종

원로나 화단 또는 잔디밭 가장자리에 높이 30-90cm, 너비 30-60cm정도의 나무를 심어 경계선을 긋는 식

3

녹음 식재

1. 녹음효과

① 한 장의 잎을 투과하는 햇빛량은 엽질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전수광량의 10-30% 정도임.

② 수목의 그림자 길이

? H = L x cot h

(H : 그림자 길이, L : 수고, h : 태양의 고도)

2. 수목 조건

① 적당한 지하고, 수관이 클 것, 잎이 크고 밀생할 것, 병충해와 답압의 피해가 적을 것, 악취 및 가시가 없는 수종, 낙엽교목이 적합(겨울의 일조량)

4

방풍 식재

1. 방풍효과

① 방풍효과와 미치는 범위는 수목의 높이와 관계를 가지며 감속량은 밀도에 따라 좌우

방풍효과가 미치는 범위는 바람 위쪽에 대해 수고의 6 - 10배, 바람 아래쪽에 대해서는 25 - 30배 거리

③ 수림대의 배치는 주풍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높이도록 하며 수림대의 길이는 수고의 12배 이상이 필요

④ 가장 효과가 큰 것은 아래쪽의 수고 3 - 5배에 해당되는 지점으로 풍속 65%가 감소

2. 방풍식재 조성

① 1.5-2m 간격을 간격의 정삼격형 식재로 5-7열로 식재

② 식재대의 폭은 10-20m

수고가 클수록 수림대의 너비를 더 넓게 조성(수고가 클수록 가지가 소생)

④ 산울타리의 밀폐도 : 45 - 55%

⑤ 수림의 밀폐도 : 50 - 70%

5

방음 식재

1. 방음 대책

① 음원과 수음점과의 거리를 충분히 떼어놓는 것(가장 확실한 방법)

② 담과 같은 차음효과를 가진 구조물을 중간에 설치하는 방법

③ 길가에 식수대를 조성

④ 노면에 요철을 없애는 방법

⑤ 노면을 연도부지보다 낮추어 도랑이나 노견에 둑을 쌓아 올리는 방법

⑥ 노면구배를 완만히 하는 방법

2. 수종

① 지하고가 낮고 잎이 수직방향으로 치밀하게 부착하는 상록교목이 적합

② 추위가 심한 지방에서는 낙엽수와 상록수를 혼식하는 방법을 사용

출처 : haonan
글쓴이 : saraesil 원글보기
메모 : ..

'이런저런 이야기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내가 머물던 나의 옛집  (0) 2012.05.01
[스크랩] 변왕별희  (0) 2012.05.01
겨울 바다가 보고 싶어서..  (0) 2012.02.28
집 짖기  (0) 2012.02.20
산곡초등학교 33회 동창회 모임  (0) 2012.02.20